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들 "범죄 전력 있는 불체자 단속 찬성<10명 중 9명꼴>"

  미주 한인 대부분이 범죄 전력이 있는 불법 체류자에 대한 체포 및 추방 조치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이민세관단속국(ICE)이 LA 등 전국에서 중범죄자를 대상으로 불법 체류자 단속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한인들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관련 정책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는 미주 중앙일보 웹사이트(www.koreadaily.com)를 통해 지난 4일부터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12일 오후 2시 현재, 조사에 응한 한인 중 72%(742명)가 범죄 전력이 있는 불법 체류자에 대한 ICE의 체포 및 추방 조치에 ‘매우 찬성한다’고 답했다. ‘다소 찬성한다(16%ㆍ167명)’라고 답한 한인까지 합하면 사실상 10명 중 9명꼴(88%)로 ICE의 조치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CE의 단속을 찬성하는 이유(중복 응답 가능)로는 ‘법과 질서를 강화할 수 있어서’라는 답변(69%)이 가장 많았다. ‘범죄율 감소에 기여할 수 있어서(61%)’, ‘불법 체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38%)’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ICE의 단속 활동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물었다. 응답자의 78%(807명)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두려움을 느낀다(12%ㆍ128명)’, ‘잘 모르겠다(9%ㆍ97명)’ 등의 순이었다.   한인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 전반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현 정부의 이민 정책에 대해 한인들은 ‘매우 긍정적(54%ㆍ557명)’, ‘다소 긍정적(23%ㆍ242명)’이라고 답했다. 반면, ‘매우 부정적(11%ㆍ118명)’, ‘다소 부정적(10%ㆍ102명)’이라고 답한 한인은 약 20%에 불과했다.   ICE의 단속 정책을 반대(중복 응답 가능)하는 한인들은 주로 불체자 단속으로 인해 지역 사회에 미칠 경제적 타격을 우려했다. 식당 서빙, 주방 보조, 건물 청소, 일용직 등에 상당수 불체자가 종사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 단속 정책에 반대하는 한인 중 다수가 불체자 단속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58%)’고 답했다. ‘가족 분리 등 사회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서(55%)’, ‘단속 과정에서 인권 침해 사례가 발생할 수 있어서(42%)’라는 답변도 많았다.   조사에 응한 한인들은 다양한 의견을 피력했다. 100여 개의 기타 의견을 살펴보면 ‘범죄자를 제외하고 세금을 납부하는 서류미비자나 시민권 자녀를 둔 불체 부모들은 이민 개혁을 통해 구제됐으면 한다’, ‘중범죄를 저지른 불체자만 추방했으면 좋겠다’, ‘이민자 단속이 아니라 불법 체류자를 단속하겠다는 건데 언론이 오도하지 말고 정확하게 보도하면 좋겠다’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한편, 이번 조사에는 미주 한인 1032명(20~80대)이 참여했다. 조사에 응한 한인들은 주로 ‘한인 언론을 통해 이민 관련 뉴스를 접한다(48%)’고 했으며, 시민권자(74%)가 가장 많았다. 대부분이 10년 이상 미국에 체류(96%)하고 있다고 답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불체자 완료 불체자 단속 한인들 범죄 최근 이민세관단속국

2025-02-17

폭행·살인 줄고 신분도용 늘고, 범죄도 불황 탄다

지난 반년간 한인 범죄 피해 보조금 통계에서도 불경기의 그림자는 뚜렷했다. 경기 악화와 정비례한다는 사기와 신분도용 범죄로 인한 한인 피해수가 처음으로 상위 5위내 진입한 것. 2007~2008년 회계연도에는 그 피해가 미미해 기타 범죄로 분류됐지만 지난 6개월간 통계에서는 단일 피해유형중 네번째를 기록할 정도로 피해가 많았다. 범죄 피해자 보조프로그램(VAP)의 정성범 한인담당 코디네이터는 "금전적인 부당이득을 취할 목적인 만큼 불경기가 가장 큰 원인중 하나로 보인다"며 "지난 반년은 금융위기가 터진 시점과도 맞물려 있다"고 말했다. 폭행 범죄도 주목을 끈다. 폭행은 2006~2007년 303건 2007~2008년 293건으로 2년 연속 1위를 고수했지만 지난 반년동안 96건에 그쳐 큰 폭의 하락이 예상된다. 또 살인 사건으로 혈육이나 가장을 잃은 한인 피해자수도 11명에 최근 감소하고 있는 한인 피살사건의 추세를 반영했다. 지난 2년간 살인사건과 관련해 보조금을 신청한 한인은 91건(2006~2007) 56건(2007~2008)으로 줄어들고 있다. VAP측은 지난 반년간 보조금을 신청한 한인들의 수가 전년도의 80%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정 코디네이터는 "아직도 범죄 피해자들에게 시에서 보조금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한인들이 많다"며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전화해달라"고 말했다. ▷문의:(213)485-0742 정성범 VAP코디네이터 정구현 기자 [email protected]

2009-01-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